경희대학교
바로가기 메뉴
주메뉴 바로가기
  • 발전기금
  • 인포21
  • Webmail
  • kor

경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로고

연구

기초학교실

경혈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경혈학교실 經穴學敎室 Dept. of Meridian &Acupoints
교실 소개 경락과 경혈에 대하여 황제내경 등의 한의학 원전을 근거로 다양한 이론과 학설을 정리하며, 침구임상의 폭을 넓히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락 및 경혈의 기본 원리와 각종 치료법에 대한 실험 연구를 통하여 침구임상의 보편화, 객관화, 현대화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교실 특징 경혈학교실에서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경혈학과 경혈학실습 교과목을 통하여 일반한의사 양성을 위한 기초지식을 교육하고자 경락의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을 지키고 삶의 질을 윤택하기 위한 보건양생,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에 사용되는 경혈의 특성과 혈명의 유래, 위치, 침법, 뜸법, 침향, 침감, 주치, 효능 등 을 교육하고 있다.기초연구 방면에서는 한의학 원전에 근거하여 고전적 경락의 기본 이론을 정리하고, 현대적인 연구방법으로 재해석하여 경락이론의 객관화와 실용화에 주력하고 있다.

1) 특정 경락에 의한 경락현상
2) 경락이론에 의한 뇌의 작용 연구
3) 질환별 침치료기술개발
4) 증상별 침치료기술개발
5) 신침요법의 치료기술개발 등을 연구하고 있다.
교실 전망 경혈학교실은 생명현상의 근저에 있는 기능적, 구조적 변화를 다각도로 탐구하며 경락현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침치료의 우수성을 입증함과 동시에 국내외적으로 특정질환에 대한 차별화된 침치료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며, 침의 치료기전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궁극적으로 인류보건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담당 교수 바로 가기

병리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병리학교실 病理學敎室 Dept. of Korean Pathology
교실 소개 한의학적인 병인, 병기, 변증을 통하여 환자의 증상과 질병을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적 진단기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학생들에게 교육하고 있으며, 질병 및 변증에 대한 한의학적 실험동물 모형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교실 특징 1) 내경 난경 상한론 등 고전에 나타난 한의학적 질병분석과정을 귀납 정리한다.
2) 질병을 한의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 질병 분석의 결과인 변증의 유형을 결정한다.
4) 변증의 동물모형을 제시한다.
5) 변증을 함에 있어서 기기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
6) 최신 실험기법을 도입, 한의학적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교실 전망 1) 변증체계의 정리를 통한 진단표준화의 확립
2) 변증의 실험동물모형 제작
3) 기기를 이용한 변증의 객관화 확립
4) 암치료의 한의학적 치료방법 모색
담당 교수 바로 가기

본초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본초학교실 本草學敎室 Dept. of Herbal Pharmacology
교실 소개 본초학교실에서는 한약의 기원이 되는 동물, 식물 및 광물에 대하여 그 기원, 성상, 감정, 효능, 임상 및 기타 응용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한의학에서의 약리학이라고 할 수 있는 기미론에 대한 연구가 본 교실의 주 연구관심사인데, 본 교실에서는 신농본초경, 신수본초, 증류본초,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 고전서들에 기록된 한약의 기원과 효능에 대하여 고증하고, 식물성약재의 기원과 분포를 조사하며, 약물의 약리작용과 그 기전에 대한 실험적연구를 통하여 고전이론의 해석과 새로운 약리작용의 발견에 주로 집중되어 연구하고 있다.
교실 특징 1) 치료의 도구로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본초에 대한 폭넓은 이해
2) 한의학이론중 한약의 기초 이론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
3) 한약를 대중화하기 위해서 하는 일반인을 위한 교육
4) 한약의 규격화에 대한 연구
5) 한약의 포제를 통한 한약 약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
6) 한약의 약리실험를 통한 한약의 인체내의 작용 및 기전 연구
7) 한약 고서의 번역
8) 각종 본초저서의 저작
교실 전망 현재 본초학교실에서는 한약재의 규격화, 한약의 수치방법에 따른 약성의 변화, 한약의 인체내에서의 작용 및 기전, 한약 약성의 재해석, 한의학 고서의 번역, 한약의 적용범위의 확대, 한의학의 대중화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밝은 전망을 보여주는 한약의 효능 및 여러 가지 작용으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천연물에 대한 그리고 각 민족의 특유한 의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경희대학교 한의과 대학 본초학교실에서는 이러한 부흥에 발맞추어 나갈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고, 또한 어느정도 자리잡아 가고 있다.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생리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생리학교실 生理學敎室 Dept.of Physiology
교실 소개 인체의 생리현상을 연구하는 동양의학의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 원리적 방법에 의한 생명현상 분석을 토대로 삼고 각 장기간의 상호관계와 기능적 분석을 연구한다.
교실 특징 1) 인체의 구성요소인 정, 신, 기, 혈의 작용 및 기전을 연구
2) 오장기능을 중심으로 하여 인체 각 부분과 오장과의 계열적 상관성 및 그 타당성 연구
3) 육기의 변화와 인체의 상관성 연구
4) 오운론에 대한 심화된 인식과 과학적 타당성 연구
5) 인체 내외의 환경변화에 대한 인체의 적응 과정 및 현상의 연구
교실 전망 1) 발생학적 과정의 한의학적 인식과 재해석
2) 생명현상 관찰을 위한 체내 물질이동, 흥분과 전도, 체액 등 연구
3) 인체의 각종 생리작용을 연구함으로써 한의학의 기초이론을 정립
4) 유기능이론 및 동서의학을 망라한 제3의학을 추구
5) 정신현상과 인체 오종기능과 체질특성의 상관관계 연구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생화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생화학교실 生化學敎室 Department of Biochemistry
교실 소개 동물, 식물 및 미생물을 포함한 생물학적 주체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을 분자수준에서 설명하고 이해하며, 새로운 사실을 밝힘으로써 궁극적으로 의학 및 약학, 그리고 생명과학 전반에 대하여 인류의 건강과 직결된 학문분야에 필수적인 연구를 진행함. 또한, 한의학의 우수한 효능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입증하며, 새로운 효능을 탐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교실 특징 1) 인체와 세균에서 유전자 발현조절 기전에 대해 연구한다.다양한 유전자 발현에 의한 최종 물질인 단백질의 특성과 구조 등에 대한 효소적 활성을 연구한다.
2) 질병해석의 최근 연구기법을 도입하고, 집합적 개념을 확립한다.
3) 세포 및 신호전달에 대해 연구한다.
4) 질환에 관련된 면역시스템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5) 암 유발 기전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연구한다.
6) 선천성 유전질환과 후천성 질환에 대해 연구한다.
교실 전망 1) 한약물 기전에 대한 생화학적 해석
2) 질병의 원인, 경로, 치료 및 예방에 관한 생화학적 이해
3) 생명, 질병현상에 대한 의학적, 생화학적 지식의 급변에 신속히 대응
4) 인접학문과의 연계성을 통한 제3의학 창출 기대 부응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약리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약리학교실 藥理學敎室 Dept. of Korean Pharmacol
교실 소개 약리학은 약물로 인하여 일어나는 생체 현상의 변동을 탐구하는 과학으로 기초 한의학에 속하면서도 그 최종 목적은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에 합리적으로 약물을 응용하는데 있으므로 임상 한의학과 관계가 깊다. 본 약리학 교실에서는 주로 임상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한약의 효과와 기전, 그리고 약물 동태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다.
교실 특징 약리학교실에서는 한의학을 중심으로 하는 다학제적 융합의과학연구를 통해 차세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한의약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한약 및 복합한의과학 치료기술의 약리 효능과 상세 작용 기전의 규명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현대인에 만연한 암, 대사질환, 난치성질환, 면역질환 및 이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동반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한의과학 연구의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양·한방 융합이론의 기반 확립, 융합한의과학적 변증지표 구축 및 맞춤 한의약의 근거 창출을 목표로 한다.
교실 전망 1) 동반질환 상호 연관성 연구 및 기전 규명
2) 문헌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양·한방 융합이론 구축
3) 동반질환의 공통인자·기전 분석을 통한 융합한의과학 변증지표 확립
4) 임상 적용을 위한 한약의 독성 및 약동학(흡수-분포-대사-배설) 연구
5) 양·한방 융합이론에 근거한 한의학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예방의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예방의학교실 豫防醫學敎室 Dept. of Korean Preventive Medicine
교실 소개 예방한의학은 한의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인간집단의 질병의 원인 및 치료, 예방 등에 대한 지식과 건강증진을 위하여 기공학, 양생학, 환경산업한의학, 정신양생학, 역학 등의 연구분야를 통하여 질병을 예방 및 건강증진을 통한 연년익수(延年益壽)의 한의학적 이론 및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실생활에 예방의학적인 방법을 실행하여 건강을 증진시킬수 있는 실제적인 수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교실 특징 예방의학교실에서는 모든 질환의 예방이 가장 기본적인 의학의 1차적인 목적으로 인식되는 현 상황에서 이러한 의학의 궁극적인 목적인 질병의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한의학적인 방법과 수단의 개발을 연구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예방의학교실은 임상연구분야에서 치료예방의학적인 임상시험, 질병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한의학적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코호트 연구, 환자 중심 레지스트리, 분자유전학과 임상역학을 결합한 유전체 역학 등을 담당할 한의약안전성유효성평가연구소(Instute of Safety, Efficacy and Effectiveness for Korean Medicine)와 , 개체의 특성이나 체질 등에 따라 치료법과 약물의 반응이 다르다는 기본 전제를 가진 한약물유전체학과 질병의 원인 및 치료기전을 연구하는 분자생물학을 다루는 임상생물학 및 한약물유전체 실험실(Laboratory of Clinical Biology and Pharmacogenomics)의 운영을 통해 이 시대의 국민보건에 가장 이바지할 수 있고 앞서가는 교실이 될 것입니다. 현재는 암 치료 및 예방 물질을 개발하고 임상에 연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한약물 재해석 암 연구센터의 주요 연구그룹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의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노령인구의 증가와 이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악성종양, 뇌중풍, 심장질환, 내분비대사질환 등에 대한 역학, 임상역학 및 분자생물학적인 연구와 이들 질환에 대한 섭생을 통한 예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임상역학 및 유전체역학 분야

둘째, 환경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환경 관련 질환의 원인을 규명하여 인간이 건강한 환경에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예방의학분야인 환경산업의학분야

셋째, 한약의 다중성분, 다중표적 (multi-component, multi-target) 특징을 고려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한 한약의 효력을 입증하는 유효성 평가 연구, 작용기전연구와 더불어 한약물이 생체 내에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의 과정 중에서 개체간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약물의 효과와 독성이 개인의 체질, 한의학적인 질병변증, 혹은 유전적인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이용하여, 개인체질 및 변증에 맞춰 가장 효과적으로 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도록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한약물유전체학분야

넷째, 국가의 한의학 정책 및 의료관리정책분야로, 일차의료 및 공공의료, 국제보건 분야에서 한의학의 역할과 참여 방안, 국가 보건의료전달체계에서의 한의약의 위치와 역할, 건강보험 및 보장성 강화 등에 대한 의료관리 및 정책 연구 분야

다섯째, 한의학적인 방법론으로 호흡법이나 도인안교, 음식양이나 식사시간, 음식물의 냉열정도 및 오미조화 등의 방법을 통한 양생법, 기공양생법 등을 통한 조신양생법, 생명현상의 가장 기초물질인 정에 대한 보정약재, 식이, 섭생을 통한 보신양정법, 양생의 면역학적 의미와 정기와의 관계 및 보기, 보혈, 보양, 보음, 보정 등의 강장약재의 면역학적 효능, 사계절의 음양성쇠변화에 따른 양생법, 기공의 발전사, 기초이론 및 각종 기공공법 등 한의학적인 양생의학을 통해 개인의 건강증진과 보건은 물론 공중보건을 위하여 위한 연구 분야

여섯째, 건강보험 청구자료, 의무기록 자료, 환자 레지스트리 등 리얼 월드 데이터(real-world data) 기반으로 한의학의 현황 분석 및 한의 중재의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연구 분야

일곱째, 체계적 문헌고찰, 임상진료지침 등 한의학의 증거기반의학(evidence-based medicine) 적용과 발전을 위한 의학 근거 방법론 연구 분야
교실 전망 우리나라는 질병발생의 패턴이 이미 1980년대에 인조퇴행질환의 시대 (The Age of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 로 접어 듬에 따라, 의학의 중심이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 의학으로 넘어 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적인 치료에 대한 아주 우수한 개념과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한의학과 한의학분야에서도 예방한의학교실의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미 구미선진국을 중심으로 한의학을 비롯한 통합보완의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이미 2018년도에 미국 국립보건원의 보완대체의학 분야야 연구비가 4억 4천8백만달러(한화 약 4천 9백 80억)를 상회하며, 이러한 연구가 동양의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들과 다국가 공동연구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을 볼 때, 한의학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의 예방한의학의 연구는 그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원전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원전학교실 原典學敎室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교실 소개 韓醫學의 기본 사상인 陰陽五行 이론과 그것을 바탕으로 형성된 臟腑와 經絡 체계에 대하여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黃帝內經과 傷寒論 등의 한의학 원서를 연구하여 그것을 현대의 사고와 언어에 맞도록 재해석함으로써 한의학의 기본 이론을 재정리하여 새로운 한의학 이론 발전에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原典學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원전교실에서는 우선 黃帝內經과 傷寒論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하여 그 속에 담긴 여러 가지 한의학의 기본 개념들에 대하여 정리하고 새로운 이론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원전교실에서 연구해나갈 구체적인 방향은 내경 및 상한론에 대한 번역과 주석 작업, 한의학사전의 편찬, 임상을 비롯하여 원전과 관련된 각 전문 분야와의 공동 연구 등을 계획하고 있다.
교실 특징 1) 한의학 대사전의 편찬
2) 한의학 원전의 번역과 주석 
3) 체계적인 한의학 이론의 확립
4) 한의학 자료의 전산화 작업
교실 전망 1) 한의학 용어의 한글화1단계 : 국어사전에 나오는 한의학 용어 및 병증상이나 몸 부위에 관계된 용어를 수집하고, 검토하여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바로 잡는다. 2단계 : 이를 바탕으로 한의학 용어가 어떻게 우리말로 바뀔 수 있는지 연구한다. 이 과정에서 적당한 우리말이 없을 경우 새로운 말을 만든다.3단계 : 이를 비교 검토하여 한글로 바꾼 한의학 용어가 국어의 단어구성원리에 적합한지를 검토한다4단계 : 한글로 된 한의학 용어사전 편찬 

2) 한의학 용어의 표준화
   1단계 : 자료수집 - 한의학 용어의 한글화 작업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기타 빠진 부분을 보충, 정리 
   2단계 : 편집회의, 집필
   3단계 : 출판 

3) 번역, 주석, 정리
   1단계 : <내경>, <상한론>, <난경> 등 한의학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서적. 
   2단계 : <향약집성방>, <동의보감>, <의방류취>, <동의수세보원>, <소문대요> 등 한국 한의학 발달에 핵심을 이루는 한국 한의서 
   3단계 : 기타 온병학, 본초, 침구, 맥학, 임상 각과의 주요서적 등. 

4) 이론적 연구
   1단계 : 원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 - <내경>, <난경>, <상한론>, <온병조변>, <동의보감>, <동의수세보원> 등 각 경전의 독특한 의학이론을 연구.  
   2단계 : 이론 중심의 연구(通時的 考察) - 음양오행론, 정기신론, 육경이론, 위기영혈변증론, 삼초변증론, 양생론, 체질론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정리. 
   3단계 : 다른 학문과의 연관성 연구.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융합의과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융합의과학교실 融合醫科學敎室 Dept. of Convergence·Medical Science
교실 소개 학문 간의 장벽을 없애고 교류를 통한 과학기술분야의 창의적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는 한의학 기반으로 하여 첨단과학기술분야(6T; IT, BT, NT, ET, ST, CT 등)와 인문/사회/예술분야와의 학문적 교류를 활성화하여, 학문과 전공의 경계를 넘는 범학제간 기초/임상/응용/정책연구를 아우르는 융합의학을 추구하며, 차세대의료시스템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융합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실 특징 융합한의과학교실은 한의학을 중심으로 하여 다학제/다분야 간의 융합연구와 융합교육을 목표로 하여 다학제적 연구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일차적으로는 한의학의 이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시대에 맞는 과학화와 더불어, 과학화된 한의학정보를 첨단과학기술/인문/사회/예술분야와 접목하여 미래의 의료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융/통합의학을 추구한다. 

1) 한의학적 이론의 정체성을 가진 과학화 
- 국민의 건강수명의 연장을 위한 범학문적인 한의학관련 연구를 수행하낟.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악성종양, 심혈관계질환, 난치성 신경계질환(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등), 난치성 피부질환(아토피 등), 갱년기질환(골다공증 등) 및 대사성질환(당뇨병 등)에 대한 한의학적 진단, 중개 및 치료기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 효과 및 작용기전 연구

2) 범학제적 융/통합연구
- 위의 질환에 대한 범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한 신 진단법, 통합진단법, 치료법 개발 및 작용기전 연구
- 위의 질환에 대한 융/통합형 진단 시스템의 개발

3) 미래 의료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범학제적 교과과정 개발 및 교육
교실 전망 1) 한의학적 이론 중심의 범학제적 융/통합 연구를 통한 새로운 학문창출 및 한의학 발전에 기여
2) 범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한 융/통합의료의 기초자료 확보
3) 한의학을 기반으로 차세대의료시스템 구축에 기여 
4) 차세대의료시스템을 선도할 창의적 융/통합형 인재 양성
5) 미래 의료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함양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의사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의사학교실 醫史學敎室 Dept. of Medical History
교실 소개 의사학교실은 한국 한의학의 역사를 구성하고 있는 의학자, 의서, 학설, 학파, 치료술, 의료 문화, 의학 논쟁 등 콘텐츠들에 대한 계통적 연구를 주 연구 분야로 삼고 있다. 수천년간 우리 민족의 건강을 담당해온 한국의 한의학은 민족 저변에 흐르고 있는 정신의 바탕이 된다. 의사학교실은 이러한 정신적 원천이 되는 콘텐츠들을 발굴하여 미래의학의 만들어나갈 기초를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의학사를 구성하고 있는 중국의학사, 일본의학사 등 동아시아 의학사와 서양의학사, 중동의학사, 인도의학사 등을 비교 고찰하여 세계의학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교실 특징 1) 본 교실에서는 한국 한의학을 동아시아 의학사 속에서 이해하고자 모색하고 있다. 
2) 한국 한의학을 대표하는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한의학의 계통을 이해한다. 
3) 현대한의학은 서양의학의 영향을 받아 일면 왜곡되고 변질되기도 하였으며 취약점을 보완하기도 하였다. 앞으로 한의학이 어떻게 발전해나가야 하는지를 역사적인 시각에서 조명하는 것이 본 교실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4) 한국과 중국의 각 의가들의 학술사상을 연구하여 의학의 계통과 뿌리를 찾으며 앞으로의 의학발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실 전망 20세기에 들어서 서양열강의 무분별한 침략과 식민지전략으로 동아시아의 전통과 문화는 많은 부분 훼손당하였고 서양의 문물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동양의 전통의학인 한의학도 왜곡당하고 일부 소멸하였다. 그러나 21세기를 바라보는 현시점에서 서양의학이 많은 부분에서 한계를 드러냄 따라, 전인적이고 자연과의 교류를 중시하는 동아시아의 의학이 세계시장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의학은 수천년의 역사동안 나름대로 내부논리를 꾸준히 유지하며 발전해온 독립된 학문분야이다. 그러므로 서양의학의 잣대로 간단히 재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한의학의 내부논리에 따라 한의학의 이치와 실효를 밝혀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한의학적인 시각에서 의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의학이론의 형성과정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의사학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할 것이다.
담당 교수 바로 가기

처방제형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처방제형학교실 處方劑型學敎室 Dept. of Prescriptionology
교실 소개 처방이란 한의학의 이론체계인 理-法-方-藥의 과정의 하나로 증상을 변별하고 병인을 찾아 진단하여 치료법을 결정한 후 적합한 약물을 선택배합하고 용량을 결정하며, 조성원칙에 따라 타당하게 배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변증시치의 중요한 수단이다. 처방제형학은 이와 같은 내용에 입각하여 치법과 처방이론 및 그 임상응용을 상세하게 밝혀 연구하는 학문으로 임상각과의 기초가 된다. 또한 간편하고 현대적인 응용을 위하여 제형의 개변과 제제의 개발을 연구한다.
교실 특징 1) 올바른 기원의 한약재 연구 및 분석 시험
2) 전통적 방서의 약물구성과 용량, 효능에 대한 연구
3) 약대(藥對)에 대한 연구
4) 처방의 기본이론과 배합규칙, 임상응용에 대한 교육과 연구
5) 여러가지 한약제형의 간편화와 현대화에 대한 연구
6) 한약처방별 제형과 전탕방법에 대한 실습교육과 연구
7) 처방의 용량상관관계와 약효기전에 대한 연구
8) 처방의 객관적 효능평가지표에 대한 연구
교실 전망 1) 변증시치에 따른 처방의 분류체계 정립
2) 처방제형분야에서의 용어 정리와 기반이론 정립으로 학문적 기초를 탄탄히 한다.
3) 임상과 연결한 처방의 적용범위와 효능평가에 대한 연구.
4) 임상과 연계한 기초학문으로서 연구분야가 폭넓고 다양
5) 새로운 질환에 대한 처방의 연구개발
6) 새로운 제형제제개발로 한의학의 응용범위와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한다.
담당 교수 바로 가기

한의교육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한의교육학교실 韓醫敎育學敎室 Dept. of Medical Education
교실 소개 현대사회에서 의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의학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머리로 입으로 익히는 의학 지식 외에 손으로 몸으로 행하는 술기, 마음으로 영혼으로 깊이를 더하는 성찰까지도 일정 수준 이상에 이른 신뢰할 수 있는 의료인을 요구한다. 국제적으로는 국제 의료 전문직(global medical professional)이라는 개념이 대두되어,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인증받은 의료인 자격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의학은 더 이상 졸업전 교육으로 충족될 수 없으며, 의료인은 자기 교육자이자 환자 교육자로서 평생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훈련하며 성찰해 스스로 성장해 가야 하며, 그래야 임상 현장에서 또는 연구 현장이나 지역사회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대학 구성원의 중지를 모아 학문단위로서 관련 연구를 진행할 한의교육학 교실이 초대 주임교수로서 이의주 교수님이 부임하며 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중에는 최초로 2018년에 설치되었다. 한의 교육 관련 제도·정책 연구, 지식정보 체계화, 수월성을 추구하는 교수·학습·평가방법 도입·개발, 국제협력 및 전문가 개발, 교육역량과 리더십을 갖춘 임상가, 연구자, 교육자 개발 등을 목표로 한다.
교실 특징 한의교육학은 의학교육학의 한 분야로서 일반 의학교육 관련 문제 외에 한의학의 고유한 장점 즉 전인 의학, 자연 의학, 철학적 의학, 통합적 의학으로서의 교육과 발전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합리적 추론과 검증에 근거한 과학적 의학,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한 인문사회적 의학, 능숙한 술기 구사력을 갖추어야 하는 임상의학으로서의 의학교육 외에 통합의학으로서 한의학 전통지식의 체계화, 현대 국제적 의료체계 속에서의 효과적인 통합과 발전이라는 과제를 안고 이에 대한 연구를 선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교실 전망 한의교육학교실은 상대적으로 신생 학문분야이지만 교육학, 임상의학, 통합의학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을 통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의료인의 자질 향상, 의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의학이 전통의학의 진수를 잘 간직하면서도 현대사회 구성원들과 세계시민들에게 기여하는 전문직으로 계속 변화·발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담당 교수 바로 가기

해부학교실
교실 이름, 특징, 전망, 담당 교수 소개
교실 이름 해부학교실 解剖學敎室 Dept. of Anatomy
교실 소개 해부학은 기초의학 교육에 있어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인체 구조에 대한 인식에 기반을 둔다.

한의사 최초로 해부학을 전공한 학자는 이학인 전 대구한의대 교수이다. 경희대학교 출신으로 가톨릭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조교를 거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 해부학 강의를 시작으로 후학을 양성하였으며. 1985년 대구한의대로 자리를 옮겼다(2004년 타계). 1988년 손낙원 교수가 대우전임강사로 임용되어 한방해부학 교실을 만들면서 대학 내 교실이 확립되었다. BK21 사업의 선정에 따라 1999년 동서의학대학원으로 소속 변경에 따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과대학 해부학교실로 재직하신 유진화 교수님께서 해부학교실 주임교수로서 교육과 인력양성에 힘쓰셨다.

현재 한의과대학의 해부학교실은 정혁상, 손영주, 박히준, 이향숙 교수가 재직 중이다. 정혁상 교수는 경희대학교를 졸업한 후 조교를 거쳐 2003년 임용되어 한의과대학을 비롯하여 전자정보학부, 미술대학, 체육대학 등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경희대학교 손영주 교수는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한방부인과 전문의 과정 후 해부학교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기초와 임상을 전공한 재원으로 기초와 임상이 결합된 교육과 골다공증 및 골절을 비롯한 대사성 질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박히준 교수는 전 세계 경혈과 침 연구 분야 top 3의 국제적 연구자이며 경희대학교 침구경락융합연구센터(AMSRC)의 센터장으로 전통 한의학과 최신 과학기술을 접목한 첨단 연구 활동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한의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침구경락분야의 과학적 학문기반을 마련하여 미래 의료산업에서 새로운 의료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한의학 전공자뿐 아니라, 신경과학, 면역학, 정보공학, 인지과학, 임상의학 등의 연구진과 함께 침구경락 분야의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향숙 교수는 한의학 분야 최초 국가지정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수장으로 국내외 한의약 및 보완대체의약학 관련 전문연구정보들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근거중심의학 방법론에 기반을 두어 가공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정제된 전문정보제공 및 연구자들 간 정보교류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내 한의약 및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경쟁력을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8년 박히준, 이향숙 교수의 영입으로 인체 구조-기능과 경혈-침구 기전 연구와 함께 한의 기초-임상 연구정보가 결합한 미래 한의학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한의인체구조 정보학 교실로 거듭나고 있다.
교실 특징 한한방 해부학은 “기능적인 해석에 집중된 한의학 이론을 구조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의학을 명확히 이해시키기 위한 역할”로서 작동된다. 한방해부학은 연구에 있어 “한의학 이론을 검증하고 이에 맞추어 약물의 기전을 밝히는 것”을 기본 정신으로 삼고 있다.

해부학교실에서는 전공필수과목으로 해부학, 조직학, 발생학, 한의정보학이, 전공선택과목으로 근거중심한의학개론을 한의과대학 예과와 본과 과정에 개설하고 있다. 대학원 과정으로는 기초한의과학과, 한의학과, 한의생명과학과, 경락의과학과에 해부학, 경혈학, 정보학, 조직학, 발생학 분야의 심화 과정 및 융합과목을 개설하여 인력양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한의학의 한의학 인체 구조 용어 표준화, 경혈 구조와 기능 연구, 침 치료에 의한 생체조절 기전 연구, 뇌 질환 및 만성 염증 질환에서의 기초-임상 융합연구, 일차 의료의 문제를 해결하고 근거중심 진료를 향상하기 위한 임상진료기반연구망(PBRN)의 조직과 한의약융합 연구 정보망 구축, 골다공증과 골질환,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한약물의 기전 연구, 인체 피부 센서 융합연구, Gut-Brain Axis 기반 환자 맞춤형 만성염증제어 침치료 기전 연구와 (초)미세먼지 위해성 표준평가 시스템 구축 및 한약물의 미세먼지 유발질환 제어 효과 및 기전 연구 등을 아우르고 있다.
교실 전망 한약 및 침구의 효능에 대한 조직화학적, 신경해부학적 및 형태계측학적 연구로는 골다공증과 골절을 비롯한 골 질환 대사 연구, 항알레르기 소재 한약물과 스테로이드 부작용 연구가 있다. 한의학 기초이론을 통한 연구로는 한의학 인체용어 정립 및 고증, 한의 해부학의 역사적 성과와 현대적 활용 방안, 동양의 해부과정 복원을 통한 구조와 기능의 통합적 신체관 정립, 경혈 위치의 현대 해부학을 통한 고증 등이 있다. 또한 인체 피부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웨어러블 연구 등이 진행 중이다. 
담당 교수 바로 가기